카테고리 없음

도자기, 유리, 스테인리스 식기 수입 절차 한눈에 보기

수출입 무역업체 사장 되기 프로젝트 2025. 1. 6. 14:09

식기(Kitchenware) 수입 절차 완벽 가이드: 단계별 상세 설명

식기(도자기, 유리컵, 스테인리스 식기 등)는 글로벌 무역에서 많이 거래되는 품목 중 하나로, 국내 판매를 위해서는 검역, 통관, 안전성 검사 등 다양한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.

특히, 식기는 식품과 직접 접촉하는 제품이므로 한국에서 수입할 경우 식품의약품안전처(식약처)의 위생검사를 통과해야 합니다.

이 글에서는 식기 수입 절차를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고, 필요한 서류 및 주의사항까지 정리하겠습니다.


1. 식기 수입 전 사전 확인 사항

1) 수입하려는 식기의 품목 확인

식기는 재질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, 각 품목에 따라 수입 요건과 검사가 다를 수 있습니다.

품목예시주요 수입 규정

도자기 식기 접시, 그릇, 머그컵 납, 카드뮴 용출 검사 필요
유리 식기 와인잔, 유리컵, 밀폐 용기 내열성, 납 용출 검사 필요
스테인리스 식기 포크, 나이프, 수저 식품과의 반응 검사 필요
플라스틱 식기 밀폐 용기, 텀블러 환경호르몬(BPA) 검사 필요
대나무/목재 식기 나무 접시, 젓가락 살충제, 방부제 검출 검사 필요

  확인 방법:

  • 식품위생법 및 수입식품안전관리 특별법 확인
  • 식약처의 기구 및 용기 포장 기준에 따른 안전성 검토

2) 식약처 수입 요건 및 안전 기준 확인

  • 식기는 한국에서 ‘기구 및 용기·포장’으로 분류되며,
  • 식품과 직접 접촉하는 제품이므로 위생 검사 필수
  • 유해물질(납, 카드뮴, BPA 등) 포함 여부 확인 필수

3) 수입 대행업체 및 관세사 활용 고려

  • 식기는 법적 요건이 까다로워 처음 수입 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수 있음
  • 수입대행업체 또는 관세사를 활용하면 서류 작성 및 통관이 원활하게 진행됨

2. 식기 수입 절차: 단계별 상세 설명

1)해외 제조업체 선정 및 계약 체결

- 수입하려는 식기의 품질, 재질, 안전성 여부 협의
- 계약서 및 기본 서류 확보

  • 상업송장(Commercial Invoice)
  • 포장명세서(Packing List)
  • 원산지 증명서(Certificate of Origin)

2) 식약처 위생 검사 및 사전 신고

- 수입식품안전관리 특별법에 따라 식약처 수입 신고 필수
- 위생 검사가 필요한 경우, 정식 수입 신고 전 시험검사 필수

*위생검사 대상 품목

  1. 도자기, 유리, 플라스틱, 대나무 등 식기 전 품목
  2. 납, 카드뮴, BPA 등 유해 물질 포함 여부 검사
  3. 식품과 직접 닿는 제품은 용출 시험 필수

- 식품의약품안전처 ITFS 시스템을 통해 사전 신고 가능
*검사 소요 기간: 5~10일 (품목별 상이)


3) 수입 신고 및 통관 절차

- 세관 전자통관시스템(UNI-PASS)에서 신고
-  필요 서류:

  • 상업송장(Commercial Invoice)
  • 포장명세서(Packing List)
  • 수입 신고서(Import Declaration Form)
  • 식약처의 위생검사 통과증명서(필요 시)
  • 원산지 증명서(Certificate of Origin, 필요 시)

- 세금 및 관세 납부

  • 관세율: 식기의 종류 및 수입 국가에 따라 다름
  • FTA 협정국 수입 시 관세 감면 가능(원산지 증명서 필요)
  • 부가가치세 10% 적용

- 검사 완료 후 세관 통관 허가

  • 식약처 위생검사가 통과되어야 최종 통관 가능

4) 국내 유통 및 판매

- 국내 유통 시 한국어 라벨 부착 필수
- 유통이력 관리 대상 여부 확인

*필수 라벨 정보

  • 제품명, 재질, 제조국, 수입업체명, 사용 시 주의사항 등 표시

- 국내 및 온라인 판매 가능 (단, 광고 규정 준수 필요)


3. 식기 수입 시 필요한 서류 정리

- 필수 서류

  1. 상업송장(Commercial Invoice)
  2. 포장명세서(Packing List)
  3. 원산지 증명서(Certificate of Origin)
  4. 수입 신고서(Import Declaration Form)

- 추가 필요 서류 (상황에 따라 다름)

  • 위생검사 시험성적서(납, 카드뮴 등)
  • 계약서(Sales Agreement)
  • 세금 계산서 및 통관 관련 서류

4. 식기 수입 시 주의해야 할 사항

1) 납, 카드뮴, 환경호르몬(BPA) 포함 여부 사전 검토

  • 유해물질이 기준 초과 시 수입 불가 및 폐기 가능

2) 식약처 검사 대상 여부 확인 필수

  • 식약처 위생 검사 없이 수입할 경우 국내 유통 불가

3) 세관 및 통관 지연 방지

  • 서류 미비 시 통관 지연 가능 → 사전 준비 필수

4) FTA 활용으로 세금 절감 가능

  • 미국, 유럽 등 FTA 체결국에서 수입 시 원산지 증명서 제출 시 관세 절감 가능

5. 결론

식기 수입 절차 요약

1. 해외 제조업체와 계약 체결 및 서류 준비
2. 식약처 위생 검사 및 사전 신고 진행
3. 세관 신고 및 통관 절차 진행
4. 위생 검사 통과 후 국내 유통 및 판매

식기 수입은 일반 소비재보다 위생 기준이 까다롭기 때문에 사전 준비가 중요합니다. 특히 납, 카드뮴, BPA 등 유해 물질 포함 여부를 철저히 확인해야 합니다.

 

#철저한 준비로 성공적인 식기 수입 비즈니스를 시작하세요! #